기사
체스 경기가 끝나는 8가지 방법
체스 경기가 끝나는 다양한 방법을 배웁니다.

체스 경기가 끝나는 8가지 방법

CHESScom
| 377 | 초심자들을 위해

체스 경기가 끝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때로는 경기의 결과가 분명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경기가 끝난 것에 대해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게 되는 상황도 있습니다.

아래는 체스 경기가 끝나는 8가지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승리/패배

무승부


승리/패배

체스 경기에서 이기거나 패배하는 방법에는 체크메이트, 기권, 시간패,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설명과 예시를 확인하세요.

체크메이트

체스 경기가 끝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체크메이트입니다. 한 선수가 다른 선수의 킹을 공격했을 때, 공격을 받은 선수가 킹을 피하거나, 자신의 다른 기물로 킹을 지키거나, 체크하는 상대 기물을 잡을 수 없다면 체크메이트가 됩니다.

위 조건이 충족되면 공격한 선수가 체크메이트로 승리합니다.

아래 포지션에서 흑의 1수 체크메이트를 찾을 수 있나요?

반복훈련: 이론적인 체크메이트 연습 |   레슨: 경기에서 승리하기


기권

일부 경기들은 체크메이트까지 가지만 대개의 경우 그전에 경기가 끝납니다.

선수들은 보통 자신의 킹이 체크메이트당할 것으로 생각하면 경기를 계속하는 대신 기권합니다. 아래 예시에서 백이 다음 수를 두자 흑 선수는 경기를 기권했습니다.

흑을 기권하게 만들 백의 수를 찾을 수 있나요?

주의하세요! 사실은 지고 있지 않지만 그렇게 생각될 때도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 2018년 미국 체스 챔피언 GM 샘 샹클랜드는 GM 아니시 기리와의 2019 타타 스틸 체스 토너먼트에서 기권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무승부 포지션이었습니다!


시간패

시간패는 경기를 가장 고통스럽게 패배하는 방법입니다. 가진 시간을 모두 사용했다면, 자신이 얼마나 유리했는지와 상관없이 상대가 체크메이트에 필요한 최소 기물만 남아있다면 경기에서 패배합니다. 바로 다음 수에 체크메이트가 되는 상황이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단, 주어진 시간을 모두 사용했는데 상대에게 체크메이트에 필요한 최소 기물이 없다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납니다.

시간을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경기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합니다.


무승부:

체스 경기에서 승리하거나 패배하는 것은 보다 명확하지만 무승부는 때때로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체스를 처음 배우신다면 스테일메이트나 기물 부족 등을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래 설명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스테일메이트

스테일메이트는 한 선수가 자신의 차례에 둘 수 있는 수(기물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를 뜻합니다. 단, 이때 킹이 체크에 당해선 안 됩니다. 스테일메이트가 나오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납니다.

체스 용어: 스테일메이트


기물 부족

한 선수가 다른 선수보다 더 많은 기물을 가지고 있지만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가지고 있는 기물이 체크메이트에 충분하지 않거나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백과 흑 모두 체크메이트에 충분한 기물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기물 부족'으로 인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납니다.

기물 부족 예시(체크메이트가 불가능하거나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는 경우)

  • 킹 vs 킹

백과 흑 모두 킹만 가지고 있다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납니다.

King vs King chess
킹만으로는 상대 킹을 체크메이트할 수 없습니다.
  • 킹 + 부기물 vs 킹

킹과 부기물(비숍 또는 나이트) 하나만으로는 상대 킹을 체크메이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상황은 무승부로 끝납니다.

Knight + King Chess
나이트와 킹만으로는 상대 킹을 체크메이트할 수 없습니다.
    • 킹 vs 모든 기물

      아래 예시에서 백은 모든 기물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흑은 오직 킹만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백 선수가 주어진 시간을 모두 사용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백이 매우 유리한 상황이니 백의 손을 들어줘야 할까요?

      흑 선수에게는 상대 킹을 체크메이트할 수 있는 기물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경기는 무승부로 끝납니다. 주어진 시간을 모두 사용했어도 전부 시간패가 되는 것은 아니며 지금처럼 무승부로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Insufficient material chess
      백이 주어진 시간을 모두 사용했지만 흑은 상대 킹을 체크메이트할 충분한 기물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 킹 + 2 나이트 vs 킹

      나이트 2개로는 체크메이트 포지션을 만들 수 있지만 상대의 도움 없이는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경기가 무승부로 끝납니다.

      King and two knights chess
      나이트 2개로는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습니다.
      • 킹 + 부기물 vs 킹 + 부기물

      이론적으로 서로 같은 색 비숍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부기물을 하나씩만 가진 포지션은 체크메이트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때에도 상대의 도움이 없다면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으므로 아래와 같은 포지션은 무승부로 끝납니다.

      Chess Checkmate
      위 포지션에서는 백과 흑 모두 체크메이트를 강제할 수 없습니다.

      체크메이트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하다면 아래 예시를 참고하세요. 하지만 아래와 같은 상황을 강제할 수는 없으므로 경기의 결과는 무승부입니다.


      50수 규칙

      50수 동안 폰의 움직임 또는 상대 기물을 잡는 수가 두어지지 않았다면 경기하는 선수는 무승부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역사상 가장 긴 체스 경기는 이 규칙이 있었다면 존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50수가 아닌 100수가 기준이었던 100수 규칙이 있었습니다.


      반복

      체스에서 같은 포지션이 3회 반복(3회 동형)되면 경기하는 선수는 무승부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이 규칙은 선수들이 같은 수를 반복하며 경기를 무한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온라인에서는 같은 포지션이 3번 나오면 경기가 자동으로 무승부 처리됩니다.


      합의

      경기하는 두 명의 선수가 모두 동의하는 경우 경기는 합의에 의해 무승부로 끝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양 선수 모두 승리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무승부 합의에 이릅니다. 

      선수들은 대회 상황을 고려해서 전략적으로 무승부로 경기를 이른 시간에 끝내기도 하는데, 이는 때때로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체스닷컴에서는 상대에게 무승부를 제안하는 버튼이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 GM 알렉산더 그리스척과 GM 샤키리얼 마메디아로프는 기물이 많이 남았지만 단 16수만 두고 무승부에 합의했습니다.

      일부 대회에서는 40수를 두기 전에는 무승부 제안을 할 수 없는 '40수 규칙'을 만들어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합니다.

      체스 경기가 끝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나요? 아래 댓글에 남겨주세요.

      CHESScom님이 쓴 글 더 보기
      인터내셔널 멀티 클럽 아레나: 모든 정보

      인터내셔널 멀티 클럽 아레나: 모든 정보

      Duolingo LP

      Duolingo LP